울산·경남지역혁신플랫폼, 추가 사업비 1360억원 확보
페이지 정보
- 
          작성자경상남도항노화플랫폼
- 
          작성일23-04-05
- 
          조회수3,172
본문
- 울산·경남지역혁신플랫폼이 안정적인 재원을 확보함에 따라 산업육성과 청년 정주여건 향상을 목표로 사업을 계속 추진할 수 있게 됐다. - 4일 울산·경남지역혁신플랫폼에 따르면 2023년 지자체-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단계평가를 통과해 추가 사업비를 1360여억원 확보했다. - 플랫폼 사업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지방대학과 지역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지자체와 대학, 기업과 연구기관이 힘을 모아 산학혁신을 통한 지역혁신을 추구하는 사업이다. - 청년인재를 지역이 키워서 지역기업에 취업시키고, 지역에 정주하게 하는 선순환 구축을 목표로 한다. - 플랫폼 1단계(1~3차년도) 사업 주요성과로는 학생 531명이 채용연계형 인턴십, 현장 전문인력 양성과정, 연구개발과제 참여로 취업했다. - 특히 올해에 처음 배출된 237명의 USG공유학생(중 56명(올해 1월 말 기준)이 취업을 하는 성과를 거뒀다. - USG공유학생은 지자체, 대학, 지역혁신기관이 협력하여 지역 전략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직접 양성하고 공급하는 전국 최초 공유형 대학 모델이다. - 또 플랫폼의 주력사업인 채용연계형 인턴십 취업률이 대기업, 중견기업이 전체 87%를 차지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. - 이와함께 USG공유대학 교과, 비교과 과정에 2만2000명의 학생이 참여해 취업 기초역량을 강화하고 기업 수요맞춤형 교육을 실시했다. - 특히 대학-기업 공동 산학협력 연구개발과제를 통해 590억원의 기업 매출증대와 84명의 학생 참여연구원 취업, 148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발생해 지역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학생들이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했다. - 이외에도 경남·울산 지역 간 혁신과 시너지 창출을 위해 대학-대학, 대학-기업 간 공동과제를 24건 추진했고 8개 USG공유대학 융합전공에 7개 대학 1300명의 학생이 지역 구분없이 참여해 대학 간 협력을 강화했다. - 장광수 총괄운영센터장은 “앞으로 2단계(4-5차) 사업에서는 USG공유대학원을 통한 고급 연구개발 인력양성, 데이터-클라우드-AI 선순환 생태계 구축, 코딩 소프트웨어 등의 첨단인력 양성으로 신산업 육성에 적극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”고 말했다. - 박진우 기자 iori@knnews.co.kr 
관련링크
- 
          - 이전글
-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나선 정부, 빠른 변화와 소통 필요하다
- 23.04.10
- 
          - 다음글
- 혁신 의료기기, 규제 풀고 R&D 확대..."2027년 세계 5위 수출 강국 도약"
- 23.04.04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